공약명 |
주요내용 |
상세보기
(PDF) |
따뜻하고 복된 공동체 조성지원 |
– 현장중심의 따복마을 만들기 등 6개 분야 주제별 대화마당 개최
· 따복마을 만들기는 주민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주도하고, 공공이 지원하는 체계로 추진 |
 |
따뜻하고 복된 공동체 조성지원 |
– 수요자 중심! 따복공동체 민·관 브레인스토밍 (정책총괄 등 9개 그룹별 브레인스토밍)
· 따복공동체 사업에 대한 이해도 제고
· 도 및 공공기관에서 개별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공동체 사업을 수요자 입장에서 연계·융복합할 수 있는 방안 논의 등 |
 |
따뜻하고 복된 공동체 조성지원 |
– 따복공동체 추진배경·뱡항 및 주요사업계획 공유
– 도와 시·군의 역할분담, 중간지원조직의 역할 및 협력방안 논의
– 시·군 및 주민 참여방안, 협력관계 구축을 위한 의견수렴 등 |
 |
따뜻하고 복된 공동체 조성지원 |
– 따복1004 원탁토론 (따복공동체 발전방향에 대한 의견수렴, 실천선언문 채택 등)
– 활동성과 공유(10인 10색 이야기, 사업별 성과공유회 등)
– 사회적경제 공공구매 활성화 심포지움, 전시·홍보관 운영 등 |
 |
따뜻하고 복된 공동체 조성지원 |
– 현장체험 및 팸투어 : 따복공동체와 관련된 유명인사, SNS기자단 참여 체험활동을 통한 따복공동체 공감대 형성
– 토크 콘서트 : 활동사례 공유와 소통으로 따복공동체 참여자 역량강화 및 도민관심도 제고 |
 |
따뜻하고 복된 공동체 조성지원 |
– 따복공동체 사례발표대회(25개 시·군 42개 공동체 참여)
– 따로 또 같이 따복토론회(성남 등 3개 시·군) 및 현장방문(단대동 마을센터 등 3개소)
– 플리마켓 및 재능도서관 운영 등 |
 |
따뜻하고 복된 공동체 조성지원 |
– 2017 주민제안 공모사업 관심 주민 대상 찾아가는 현장 컨설팅 실시
– 따복공동체사업의 선 경험자의 활동 경험과 노하우 설명
– 2017 따복공동체 공모사업 준비사항 조언 및 사업계획서 작성요령 등 상담 |
 |
따뜻하고 복된 공동체 조성지원 |
– 청년의 자발적 참여를 통한 청년이슈 발굴 및 공유
– 청년이 말하는 청년문제 인식 및 정책제안
– 분야별·지역별 실천 가능한 해결책 모색 등 청년주도 실천포럼 개최 |
 |
따뜻하고 복된 공동체 조성지원 |
– 1,061건(공간조성 120, 공간활동 215, 공동체활동 726) 주민제안 공모사업에 대한 블록체인 방식의 온·오프라인 심사
⇒ 심사평가의 투명성 및 객관성 확보, 상호학습 및 네트워킹 기회 마련, 직접민주주의 실현 |
 |
복지와 일자리 통합 지원
(해봄프로젝트) |
– 사회성과연계채권의 현황 및 과제에 대한 발표
– 사회성과연계채권에 대한 이해 증진 및 토론 |
 |
복지와 일자리 통합 지원
(복지공동체 활성화) |
– 2017년 복지공동체 사업방향 설명
– 복지공동체에 대한 이해 및 컨설팅 실시 |
 |
안산정신건강트라우마센터 운영 |
– 전문가 발제(일본의 재난의료지스템의 이해, 재난심리지원 · 재난응급의료의 이해 등)
– 지정토론(재난응급의료와 재난심리지원의 협력방안) |
 |
사회복지사 처우 개선 |
–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처우개선비 확대 지원 논의
– 장기요양시설, 국고전환시설, 유사기관 처우개선 지급 여부
– 경기도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임금분석 공유 등 |
 |
따복기숙사 건립 |
– 따복기숙사 개관행사(기숙사투어, 입사생과의 대화, 입사생 오리엔테이션) |
 |
경기도 맞춤형 정비사업 |
– 경기도맞춤형정비사업 추진 매뉴얼 설명
* 사업추진 배경, 추진절차, 국비공모 등 사업비 확보방안 등
– 따복하우스, 가로주택정비사업 등 경기도 주거복지사업과 연계 방안
– 시흥시 거모지구 맞춤형정비사업 추진사례 발표 (주민대표) |
 |
경기도 맞춤형 정비사업 |
– (강의) 주민참여형 노후주거지 재생(김현숙 전북대학교 교수)
– (강의) 주거환경관리사업을 통한 지역재생(배기택 디자인연구소이락 대표)
– (견학) 새동네 마을공동체 활성화 사례(새동네주민협의회 회장)
– (강의) 도시재생 추진방향(진영효 두리공간환경연구소 대표)
– (강의) 거북시장 느림보타운 조성사업 사례발표(허현태 수원시 도시재생센터장)
– (견학) 거북시장 느림보타운 활성화 사례(최기훈 상인회 홍보위원장)
|
 |